풍자와 해학의 마력을 보여주는 소설의 대가인 김유정의 소설은 각박한 현대를 사는 현대인에게도 지혜와 삶의 여유를 주는 소설들이다.
<<금 따는 콩밭>>은 1930년대 소설로 당시 시대상황을 반영하여 금 모티프로 가난하고 궁핍한 농촌생활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만무방>>은 일제강점기 아래에서 농촌의 착취 체제에 내재하는 모순을 겨냥한 작품이다
<<봄봄>>은 마름과 머슴, 점순이의 관계를 해학적으로 풀어난 소설로 해학성이 가장 구체화되어 있는 작품의 하나이다.
<<동백꽃>>은 향토색 짙은 농촌을 배경으로 성장하여가는 충동적인 사춘기 소년 · 소녀의 애정을 해학적으로 그린 김유정의 대표작이다.
김유정의 가장 많이 알려진 소설들을 통해 삶의 여유와 해학을 느껴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일제강점기 『동백꽃』, 「봄봄」, 「따라지」 등을 저술한 소설가.
갑부 집안이었으나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고향을 떠나 12세 때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 1929년에 휘문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이듬해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진학했으나 중퇴하였다.
1932년에는 고향 실레마을에 금병의숙(錦屛義塾)을 세워 문맹퇴치운동을 벌이기도 하고, 또 한때는 금광에 손을 대기도 하였다.
1935년 단편소설 「소낙비」가 『조선일보』에, 「노다지」가 『중앙일보』의 신춘문예에 각각 당선되어 문단에 올랐다. 그뒤 후기 구인회(九人會)의 일원으로 김문집(金文輯) · 이상(李箱) 등과 교분을 가지면서 창작활동을 하였다.
그는 등단하던 해에 「금 따는 콩밭」 · 「떡」 · 「산골」 · 「만무방」 · 「봄봄」 등을 발표하였고, 그 이듬해인 1936년에 「산골 나그네」 · 「봄과 따라지」 · 「동백꽃」 등을 발표하였으며, 1937년에는 「땡볕」 · 「따라지」 등을 발표하였다.
그는 불과 2년 남짓한 작가생활을 통해서 30편 내외의 단편과 1편의 미완성 장편, 그리고 1편의 번역소설을 남길 만큼 왕성한 창작의욕을 보였으나, 30세에 죽었다.
김유정의 소설은 그의 체험적 소재에 따라 크게 세 갈래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고향 실레마을 사람들의 가난하고 무지하며 순박한 생활을 그린 「봄봄」 · 「동백꽃」 등의 계열로서 그의 작가적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일면이다.
다음은 그의 금광 체험에서 얻어진 것으로, 민족항일기의 가난 속에서 일확천금의 꿈에 한가닥 희망을 걸고 사는 사람들의 생태를 그린 「노다지」 · 「금 따는 콩밭」 등의 계열, 그리고 도시에서의 가난한 한 작가인 자신의 생활을 투영시킨 「따라지」 · 「봄과 따라지」 등의 계열이 그것이다.
그의 문학세계는 본질적으로 희화적(戱畫的)이어서, 냉철하고 이지적인 현실감각이나 비극적인 진지성보다는 따뜻하고 희극적인 인간미가 넘쳐 흐르는 게 특징이다.
등장인물들의 우직하고 순진한 모습, 사건의 의외적인 전개와 엉뚱한 반전, 매우 육담적(肉談的)인 속어의 구사 등으로 독특한 개성을 보여주었다. 어리숭한 사람들을 해학적으로 다룬 것은 그의 애상적인 성격에 대한 반동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대표작 「동백꽃」은 사춘기 남녀가 애정과 개성에 눈떠가는 과정을 전원 서정 속에 특유의 해학적 수법으로 표현한 것이다. 작품집으로는 1938년에 나온 『동백꽃』이 있고, 1968년에 『김유정전집』이 출간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유정 (金裕貞)]